외국어 숙어집

ko 숫자   »   ad Пчъагъэхэр (цифрэхэр)

7 [일곱]

숫자

숫자

7 [блы]

7 [bly]

Пчъагъэхэр (цифрэхэр)

Pchagjehjer (cifrjehjer)

번역을 보고 싶은 방법을 선택하세요.   
한국어 아디게어 놀다
저는 세요: С- к-эс-лъ-тэ: С_ к__________ С- к-э-э-ъ-т-: -------------- Сэ къэсэлъытэ: 0
P--a---hjer --i-rjehj-r) P__________ (___________ P-h-g-e-j-r (-i-r-e-j-r- ------------------------ Pchagjehjer (cifrjehjer)
하나, 둘, 셋 з-- -Iу, -ы з__ т___ щ_ з-, т-у- щ- ----------- зы, тIу, щы 0
Pc-ag-e---r----fr--h-e-) P__________ (___________ P-h-g-e-j-r (-i-r-e-j-r- ------------------------ Pchagjehjer (cifrjehjer)
저는 셋까지 세요. С- щ-м-нэс ---сэ-ъы-э. С_ щ__ н__ к__________ С- щ-м н-с к-э-э-ъ-т-. ---------------------- Сэ щым нэс къэсэлъытэ. 0
Sj- -j-sjel-tje: S__ k___________ S-e k-e-j-l-t-e- ---------------- Sje kjesjelytje:
저는 더 세요. Сэ---ык-от-г-эу -ъэ--лъ---: С_ л___________ к__________ С- л-ы-I-т-г-э- к-э-э-ъ-т-: --------------------------- Сэ лъыкIотагъэу къэсэлъытэ: 0
Sj- kj-s-el-tj-: S__ k___________ S-e k-e-j-l-t-e- ---------------- Sje kjesjelytje:
넷, 다섯, 여섯, п-I-, т-ы--х-, п____ т___ х__ п-I-, т-ы- х-, -------------- плIы, тфы, хы, 0
S----j-sj--y-je: S__ k___________ S-e k-e-j-l-t-e- ---------------- Sje kjesjelytje:
일곱, 여덟, 아홉 б-ы--и----ъу б___ и_ б___ б-ы- и- б-ъ- ------------ блы, и, бгъу 0
zy-----, s-hy z__ t___ s___ z-, t-u- s-h- ------------- zy, tIu, shhy
저는 세요. Сэ----с--ъыт-. С_ к__________ С- к-э-э-ъ-т-. -------------- Сэ къэсэлъытэ. 0
zy, tIu- s-hy z__ t___ s___ z-, t-u- s-h- ------------- zy, tIu, shhy
당신은 세요. О ---олъы-э. О к_________ О к-э-л-ы-э- ------------ О къэолъытэ. 0
z-- ---, ---y z__ t___ s___ z-, t-u- s-h- ------------- zy, tIu, shhy
그는 세요. А- -хъ-л-ф-гъ)---елъы--. А_ (__________ к________ А- (-ъ-л-ф-г-) к-е-ъ-т-. ------------------------ Ащ (хъулъфыгъ) къелъытэ. 0
Sje sh--- -j-s kjesj-ly-j-. S__ s____ n___ k___________ S-e s-h-m n-e- k-e-j-l-t-e- --------------------------- Sje shhym njes kjesjelytje.
하나. 첫번째. Зы. А-э---. З__ А______ З-. А-э-э-. ----------- Зы. Апэрэр. 0
Sj- s-hy---je- --es-e--t--. S__ s____ n___ k___________ S-e s-h-m n-e- k-e-j-l-t-e- --------------------------- Sje shhym njes kjesjelytje.
둘. 두번째. ТIу. Я---н----. Т___ Я_________ Т-у- Я-I-н-р-р- --------------- ТIу. ЯтIонэрэр. 0
Sje -hhy---je- -j-s-e-yt--. S__ s____ n___ k___________ S-e s-h-m n-e- k-e-j-l-t-e- --------------------------- Sje shhym njes kjesjelytje.
셋. 세번째. Щы- --энэ---. Щ__ Я________ Щ-. Я-э-э-э-. ------------- Щы. Ящэнэрэр. 0
Sje l--I--a--eu-kj-s---y-je: S__ l__________ k___________ S-e l-k-o-a-j-u k-e-j-l-t-e- ---------------------------- Sje lykIotagjeu kjesjelytje:
넷. 네번째. П-I-.--пл-эн--э-. П____ Я__________ П-I-. Я-л-э-э-э-. ----------------- ПлIы. ЯплIэнэрэр. 0
S-- --kI-ta-j-u-k-es-----je: S__ l__________ k___________ S-e l-k-o-a-j-u k-e-j-l-t-e- ---------------------------- Sje lykIotagjeu kjesjelytje:
다섯. 다섯번째. Тф-. --фэнэр--. Т___ Я_________ Т-ы- Я-ф-н-р-р- --------------- Тфы. Ятфэнэрэр. 0
S-e l-kI-ta--e- -j----lyt--: S__ l__________ k___________ S-e l-k-o-a-j-u k-e-j-l-t-e- ---------------------------- Sje lykIotagjeu kjesjelytje:
여섯. 여섯번째. Хы. Ях----э-. Х__ Я________ Х-. Я-э-э-э-. ------------- Хы. Яхэнэрэр. 0
pl-y--t------, p____ t___ h__ p-I-, t-y- h-, -------------- plIy, tfy, hy,
일곱.일곱번째. Б--. Яб-э-э-э-. Б___ Я_________ Б-ы- Я-л-н-р-р- --------------- Блы. Яблэнэрэр. 0
pl-y, ---- -y, p____ t___ h__ p-I-, t-y- h-, -------------- plIy, tfy, hy,
여덟.여덟번째. И- Яенэр-р. И_ Я_______ И- Я-н-р-р- ----------- И. Яенэрэр. 0
plI-- -----h-, p____ t___ h__ p-I-, t-y- h-, -------------- plIy, tfy, hy,
아홉.아홉번째. Бгъу---бгъонэ-эр. Б____ Я__________ Б-ъ-. Я-г-о-э-э-. ----------------- Бгъу. Ябгъонэрэр. 0
bl-- i, --u b___ i_ b__ b-y- i- b-u ----------- bly, i, bgu

사고와 언어

우리의 사고도 우리의 언어에 달려 있다. 사고할 때 우리는 자신하고의 ‘대화’를 한다. 이를 통해 우리의 언어가 우리가 사물을 보는 시각에 영향을 준다. 우리는 언어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는가? 아니면 우리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르게 생각하기도 하는가? 모든 민족은 자기만의 어휘를 가지고 있다. 어떤 언어의 경우, 특정한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초록색과 파란색을 구분하지 않는 민족들도 있다. 말하는 사람들은 이 두개의 색에 같은 단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다른 민족보다 색을 잘 알아보지 못한다. 그들은 색조와 혼합색을 인지할 수 없다. 화자들은 색을 묘사하는 데 어려움을 갖는다. 또 다른 언어는 수사가 거의 없다. 이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은 숫자를 현저히 보다 잘 세지 못한다. 또한 좌우 를 모르는 언어도 있다. 이때 사람들은 동서남북에 대해서 말한다. 그들은 지리적인 면에서 잘 교도할 수 있다. 하지만 좌우라는 개념은 이해하지 못한다. 물론, 우리의 언어만이 우리의 사고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환경과 일상생활도 우리의 사고에 영향을 준다. 언어는 그렇다면 어떤 역할을 하는가? 우리의 사고에 경계선을 주는 것인가? 아니면 우리는 생각하는 것에 대한 단어만을 가질 수 있는가? 무엇이 원인이고, 무엇이 결과인가? 이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을 우리는 아직 찾지 못했다. 이 질문은 뇌과학자와 언어학자들을 이에 관심을 돌리게 만든다. 하지만 이 주제는 우리 모두하고 관계가 있는 일이다 … 너는 네가 말하는 내용이다?!
알고 계셨나요?
덴아크어는 약 5백만 명이 모국어로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이 언어는 북게르만어군에 속합니다. 이는 이 언어가 스웨덴어 및 노르웨이어와 친족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세 언어의 어휘는 거의 동일합니다. 이들 언어 중 하나를 사용하는 사람은 나머지 두 언어도 이해합니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은 이 스칸디나비아의 언어가 다른 언어가 아니라고도 생각합니다. 이들은 이들 언어가 하나의 동일한 언어로서 지역적인 변종에 불과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덴마크어 자체에도 여러 방언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언은 점차 표준어에 의해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그 대신 특히 도시 지역에서 새로운 방언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언을 사회 방언(sociolect)라고도 합니다. 사회 방언에서는 그 발음에 의해 사용자의 연령이나 사회적 계층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덴마크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다른 언어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그리 강하게 드러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로 인해 덴마크어는 아주 흥미로운 언어가 됩니다.